개발 & 공부/스프링

스프링 입문 강좌 정리 - IoC 컨테이너

hyungmuk 2020. 3. 19. 04:09

IoC 컨테이너 역할

  • 빈을 만든다.
  • 빈들 사이의 의존성을 엮어준다
  • 컨테이너가 가지고 있는 빈을 제공한다.

인텔리제이 IDE에서 클래스 왼쪽에 녹색 콩 표시가 있으면 빈으로 등록된 것이다.

의존성 주입은 빈 끼리만 가능하다. 즉, IoC 컨테이너에 들어있는 객체들 끼리만 의존성 주입을 해준다.

빈을 가지고 오는 방법

@Autowired
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;

@Test
public void getBean() {
	applicationContext.getBeanDefinitionNames()
}

applicationContext 안에 모든 빈들이 들어 있다.

.getBeanDefinitionNames() 메소드는 모든 빈들의 이름을 가져온다.

.getBean(s:"빈이름") 은 빈 이름에 해당하는 빈을 가져온다.

또한 빈을 특정 인터페이스의 타입으로도 가져올 수 있다.

applicationContext.getBean(클래스이름.class)

위 예제는 applicationContext가 가지고 있던 OwnerController 인스턴스의 해시값을 가지고 온다.

@ResponseBody는 return 문자열 자체가 응답의 본문이 되도록 해주는 어노테이션이다.

하지만 applicationContext을 직접 사용해서 빈을 불러오는 일은 거의 없다.

이렇게 자동으로 주입 받아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.

IoC 컨테이너의 이런 빈 객체를 싱글톤 스코프 객체라고 부른다.

싱글톤 스코프

  • 어떤 인스턴스 객체 하나를 애플리케이션 전반에서 계속해서 재사용 하는 것 이다.
  • 싱글톤 스코프 객체 구현은 굉장히 번거롭고 조심스러운 일인데 이렇게 IoC 컨테이너를 이용하면 굉장히 편하게 싱글톤 스코프를 달성할 수 있다.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NOAajiABq6A&list=PLfI752FpVCS8_5t29DWnsrL9NudvKDAKY&index=6